유동성 함정 (Liquidity Trap)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최고관리자 (1.♡.166.32) 댓글 0건 조회 74회 작성일 25-01-14 22:30

본문

유동성 함정 ( Liquidity Trap)

+ 금리가 매우 낮아 통화공급의 증가가 지출 증가로 연결되지 않고 현금을 보유하려는 상태를 말한다.

+ 미국에서 1930년대 대공황 때 돈을 풀어도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현상을 보고, 영국의 경제한자 John M. Keynes(케인즈) 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

+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의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사람들은 저축보다 소비와 투자를 늘리게 된다. 투자와 생산이 늘어나고 고용이 늘면서 경기가 상승하게 된다.

+ 그런데, 금리가 매우 낮은 수준이고 시장에 현금이 넘치는데도 기업의 생산과 투자, 그리고 가계의 소비가 늘지 않고 마치 경제가 수렁이나 함정에 빠진듯이 경기가 침체된 상황을 유동성 함정이라고 말한다.

+ 이런 상황에서는 중앙은행이 금리를 아무리 내려도 기업들은 투자를 꺼리면서 고용 감소로 이어지고 경제의 성장이 둔화되는 등 경기부양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. 

금리인하와 통화량 증가만으로는 회복이 어렵다.

+ 유동성 함정의 상황에서는 시장에 금리인하로 인한 통화 정책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게 되고, 재정 정책이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.

+ 또한, 정부와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소비 진작 정책과 기업과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필요하다.


언더스탠딩 유튭 - 한국경제 유동성 함정에 빠졌다. 
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Copyright 2019-2022 © 20Watt.net